- 홍보센터
- 운암김성숙선생기념사업회 소개
- 홍보센터
- 언론속의 운암
언론속의 운암
-
[경기신문] 독립운동가 100인의 삶과 정신, 웹툰으로 완성되다
등록일 : 2021-03-05
성남시와 성남문화재단 공공프로젝트 3차년 사업 마무리 올해 '평화' 주제로 34점 제작... ‘머털토사’ 이두호 작가 등 40명 참여 성남문화재단(대표이사 노재천)이 독립운동가를 웹툰으로 재조명하는 3년간의 대장정을 마무리하... -
[오마이뉴스] 독립운동가 후손부터 아이돌까지... 독립선언문 낭독한 그들의 이야기
등록일 : 2021-03-02
수많은 세계인들이 동참해 가능했던 독립... 오늘날 던지는 메시지 2021년 3월 1일, 102주년 3.1절 기념식이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열렸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를 비롯해 50여 명이 참석한 행사는 빗줄기 속에서 차분한 분위기로 진행됐다.이날... -
[뉴스1] "100년전 의학도들처럼"…역사 뒤져 코로나 의료진 격려한 문대통령
등록일 : 2021-03-01
"코로나 이겨내는 힘, 100년 전 의료인 헌신에서 비롯"독립운동가·유공자 후손, 영어·일어·중국어 등으로 독립선언문 낭독문재인 대통령은 1일 3·1절 102주년을 맞아 1920년 일제 치하에서 콜레라 등 전염병과 싸운 의학도들을 거론하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
[뉴시스] 항일 독립운동가 김성숙 손자 두닝우, 3·1절 기념식 참가
등록일 : 2021-02-28
[서울=뉴시스] 박대로 기자 = 운암김성숙선생기념사업회(회장 민성진)는 제102년 3·1절 기념식에 독립운동가 운암 김성숙의손자인 두닝우가 참가한다고 28일 밝혔다.102주년 3·1절 기념식은 다음달 1일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오전 10시 열린다... -
[중도일보] 운암선생기념사업회 "민주당 당론으로 '현충원 파묘법' 채택 하라"
등록일 : 2021-02-26
(사)운암김성숙선생기념사업회가 더불어민주당 당론으로 '현충원 파묘법'을 채택하라고 요구하고 나섰다.운암선생기념사업회는 보도자료를 통해 더불어민주당에 '현충원 파묘법'을 당론으로 채택 요청하며, 국립현충원에 안장한 국가 공인 친일파 12명을 국립호국원으로 이장하는 방법을... -
[연합뉴스] 김성숙기념사업회 "현충원 안장 친일파, 호국원 이장해야"
등록일 : 2021-02-25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 (사)운암김성숙선생기념사업회(회장 민성진)는 25일 국립현충원에 안장된 친일파를 국립호국원으로 이장하는 방안을 제안했다.기념사업회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더불어민주당에 '현충원 파묘법'을 당론으로 채택하라고 요청했다"면서 "국가 공인... -
[뉴스1] 독립운동가단체 "민주당, 친일파 파묘법 당론 채택해야"
등록일 : 2021-02-15
25개 독립운동가 단체로 구성된 항일독립선열선양단체연합(항단연)와 광복회 등이 일명'친일파 파묘법'을 당론으로 채택할 것을 집권여당에 요청하고 나섰다.운암김성숙선생기념사업회는 15일 보도자료에서 "함세웅 항단연 회장, 김원웅 광복회장은 친일파 파묘법 등 친일청산 관련 ... -
[뉴시스] 독립운동 선양단체 "與 요즘 이상해"…친일 파묘법 촉구
등록일 : 2021-02-11
함세웅·김원웅·민성진, 이낙연 대표 방문 예정 [서울=뉴시스] 박대로 기자 = 독립운동가와 그 후손으로 구성된 독립운동 선양단체들이 더불어민주당에 친일파 파묘법을 당론으로 채택하라고 압박할 방침이다.함세웅 항일독립선양단체연합회장, 김원웅 광... -
[오마이뉴스] 혁명 열기 속 국경 넘은 사랑도 익어갔다
등록일 : 2021-02-10
ⓒ 장호철 광저우 기의(起義)와 한중 로맨스, 조선의용대의 결성 이전 기사 : [임시정부 노정을 따라 ⑦] 광저우(廣州) ① 한중 항일연대의 단초 황푸군관학교 1927년 12월 11일 새벽에 시작된 광저우 기의(起義)... -
[오마이뉴스] 황푸군관학교, 한인 청년을 조련한 '혁명의 요람'
등록일 : 2021-02-10
한중 항일연대의 단초 황푸군관학교2015년 상하이(上海)에서 항저우(杭州)와 전장(鎭江)을 거쳐 난징(南京)에서 마무리한 4박 5일(1.23.~1.27.)간의 1차 임시정부 노정 답사를 이은 2차 답사를 떠난 것은 지난해 1월이었다. 답사의 기억이 바래 가는 5년 ...